-
목차
기업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고 주주들에게 높은 수익을 돌려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익을 창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의 역할이 단순히 이윤 창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도 중요하다.
현대 경영학에서는 기업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고객, 직원, 협력업체, 지역사회, 정부 등 기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균형 있게 충족해야만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업의 목표는 단순히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일까? 아니면 더 넓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기업의 목표가 어떻게 설정되는지 살펴보고, 주주 중심 이론과 이해관계자 이론의 차이를 분석하며, 기업이 누구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1. 기업의 목표 –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서는 가치 창출
기업의 기본적인 목표는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사회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목표는 경제적 목표, 사회적 목표, 혁신 목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경제적 목표(Economic Goals) – 이윤 창출과 기업 성장
기업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려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윤을 남기고,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해야만 주주들에게 투자 수익을 제공하고, 직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기업의 경제적 목표 예시
- 매출 증가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전략 수립
-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신시장 개척 및 사업 확장
- 투자자들에게 배당 지급 및 주주 가치 극대화하지만 기업이 단순히 이윤 창출만을 목표로 하면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하여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많은 기업들이 단순한 경제적 목표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는 경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② 사회적 목표(Social Goals) –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성 확보
현대 기업은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다. 이는 기업이 환경 보호, 윤리적 경영, 공정한 노동 환경 조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기업의 사회적 목표 예시
- 지속 가능 경영(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도입: 환경 보호와 윤리적 경영을 통한 사회적 책임 강화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강화: 지역사회 기부, 공정 거래 실천 등
- 포용적인 노동 환경 조성: 직원들의 복지 향상 및 다양성 존중예를 들어, 글로벌 커피 브랜드 스타벅스(Starbucks)는 공정무역 커피를 사용하고, 친환경 패키징을 도입하는 등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브랜드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고객 신뢰를 구축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③ 혁신 목표(Innovation Goals) – 기술 발전과 경쟁력 강화
기업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수적이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기업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 기업의 혁신 목표 예시
-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를 통한 기술 혁신
- 시장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유연한 조직 운영
-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한 서비스 혁신 및 디지털 전환예를 들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Tesla)는 배터리 기술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이러한 혁신은 단순히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것을 넘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2. 기업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 주주 중심 이론 vs. 이해관계자 이론
기업이 누구를 위해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논쟁이 이어져 왔다. 대표적인 두 가지 관점이 주주 중심 이론(Shareholder Theory)과 이해관계자 이론(Stakeholder Theory)이다.
① 주주 중심 이론(Shareholder Theory) – 기업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
주주 중심 이론은 1970년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이 주장한 이론으로, 기업의 주요 목표는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 기업은 투자자인 주주들의 자본을 활용하여 최대의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 기업 경영진의 주요 임무는 주주들에게 더 많은 배당을 지급하고,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 기업이 환경 보호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은 정부와 비영리 단체의 역할이며, 기업의 주요 역할은 이윤 극대화에 집중하는 것이다.1980~1990년대 미국 기업들은 단기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대규모 정리해고와 비용 절감 전략을 실행했다.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② 이해관계자 이론(Stakeholder Theory) –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이해관계자 이론은 1984년 경영학자 에드워드 프리먼(Edward Freeman)이 제안한 개념으로, 기업은 주주뿐만 아니라 고객, 직원,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 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책임과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 주주뿐만 아니라 고객, 직원, 협력업체, 지역사회, 정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 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면 장기적으로도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기업을 예로 들면, 스타벅스(Starbucks)는 환경 보호와 공정무역 커피 사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도, 고객과 직원의 만족도를 높여 장기적인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했다.
결론: 기업은 주주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사회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주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경제적 목표, 사회적 책임, 혁신을 모두 고려한 전략이 기업의 장기적인 성공을 결정한다.
앞으로의 기업은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OT 분석 –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핵심 도구 (0) 2025.03.13 기업의 지속 가능 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 – 장기적인 성장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역할 (0) 2025.03.13 기업의 목표와 이해관계자 이론 – 기업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0) 2025.03.12 경영이란 무엇인가? – 경영학의 정의와 핵심 원칙 (0) 2025.03.12 애자일(Agile) 조직과 전통적 계층 조직의 비교 – 기업이 유연성을 높이는 방법 (0) 2025.03.12